전체 글 528

Android - Activity LifeCycle / Developing Android App

안드로이드 액티비티 생명주기Activity Life Cycle 안드로이드 액태비티 생명주기 1. onCreate() -> 액티비티(Activity)를 생성한다. 2. onStart() -> 액티비티(Activity)를 보이게 한다. 3. onResume() -> 액티비티(Activity)의 포커스를 가지게 한다. 4. onPause() -> 액티비티(Activity)의 포커스를 잃게 한다. 5. onStop() -> 액티비티(Activity)를 보이지 않게 한다. 6. onDestroy() -> 액티비티(Activity)를 없애므로써 라이프 싸이클을 종료한다. 화면이 회전할때의 액티비티 생명주기(Activity Life Cycle) 1. 처음에 화면 생성onCreate -> onStart -> onRes..

Dev/Android 2017.03.07

Android - webPage 띄우기 / Developing Android App

안드로이드에서 WebPage 띄우기Developing Android App 1. 호출할 웹페이지 url 을 가져온다.2. Uri 타입으로 파싱!!3. 웹 페이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호출 12345678String url = "http://www.naver.com";Uri uri = Uri.parse(url);Intent 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VIEW, uri);// 암시적 인텐트를 받을 수 있는 앱이 기기에 없을 경우, 여러분의 앱이// startActivity()를 호출하면 작동 중단되기에 인텐트를 수신할 앱이 있는지를 먼저 확인if (intnet.resolveActivity(getPackageManager()) != null) { startActivity(int..

Dev/Android 2017.03.07

도전이라는 결정을 어떻게 내려야하는가?

사람들과 얘기하다가 결정에 관한 얘기를 하다보면그 사람의 결정이 위험할것 같기에, 회패해야 한다고 느낄때가 종종 있었다. 그러나 결과가 나오고, 결과가 멋진게 나올때그 사람의 선택이 대담했고 현명했던 선택으로 바뀐다. 위험회피 와 도전은 어떻게 결정되어져야 할까?차이를 결과론적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 어떻게 생각하고 바라봐야 하는가? 위험의 산정과 도전이라는 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떠오르는 질문 2017.03.03

Android - URL 생성 / Developing Android Apps 수업

Android - URL 생성 / Developing Android Apps 수업 Android 에서 기본 라이브러리만 사용해서 URL 생성하는 방법기본적으로 Android 는 URI.builder framework class 를 이용해서 어려움 없이 잘 짜여진 URI 생성을 돕는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public static URL buildUrl(String query) { Uri builtUri = Uri.parse("https://andfun-weather.udacity.com/staticweathe") .buildUpon() .appendQueryParameter("q", query) .appendQueryParameter("mode", "json..

Dev/Android 2017.03.03

자율적임의 어려움

자율적인 회사자율적인 업무자율적인 학습 Free 가 함유된 자율성을 강조하는 회사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좋은 사람을 뽑기 위한 좋은 옵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자율성이라는 무게는 쉽게 감당할 수 있지는 않다. 자율적으로 학습을 하고 업무를 하기 위해서내가 무엇을 알고 있으며내가 무엇을 가장 잘하는지내가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면밀히 알고 있어야지 자율적인 학습 환경에서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라고 생각한다. 자율적인 업무도 마찬가지다.자율적인 업무도 내가 업무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제대로 파악했는지그리고 내가 지금 당장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어떤 부분을 도움을 받아야하는지 아는게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자율적이지 않은 환경에서 궁시렁 대다가도 정작 자율성(자유는 아니다)을 얻게되면왜 자율적이냐..

Log 2017.02.24

언제나 이직은 옳을까?

낚시성 제목이지만 이직이란 뭘까라는 생각을 했다.이직이란 주제는 회사를 다니는 많은 사람들에게 높은 관심의 주제 중 하나인것 같다."누구는 어디로 옮겼대~""걔 이번에 XX으로 갔잖아?!" 주변에서 조금(?) 혹은 자주 들었다. 그 얘기를 귀를 쫑긋 세워서 듣다보면 '나도 옮길까?' '좋은 회사 어디 없나?' 하면서 둘러보기도 한다. 근데 또 생각의 꼬리를 물다보면 대체 좋은 회사란 뭘까 라는 생각에 빠지기도 한다. 여러 사람의 얘기를 듣고 내가 생각을 종합해보면, 회사를 옮기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그 가운데서 대략 2가지로 생각이 모아졌다. '사람' 그리고 '돈' 우리는 평생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왔으며 평생 다른 사람들과 같이 살것이다. 전 인생에 걸쳐서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지만, 다른 사람과 함..

Log 2017.02.24

RxJava - RxAndroid 공부

RxJava - RxAndroid 공부 RxJava 관련 다른 포스팅 - RxJava 의 combineLatest 사용 - EditText 이용 예제(링크) RxJava 를 공부하면서 몇가지 정리를 합니다.도움이 되거나 혹은 수정할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크게 RxJava 에는 크게 2가지 개념을 기억하면 됩니다. Observable 과 Observer 입니다. 2. 간단하게 Observable 은 값을 보내고 Observer 는 subscribe() 라는 구독이라는 메서드를 통해서 보낸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한다 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3. Observer 는 Observable 이 값을 보낼때, 값이 더이상 없을 때, 에러가 났을때 3가지 액션에 대해 반응을 합니다...

Dev/Android 2017.02.22